삼백초 효능

2020. 12. 31. 17:15

 

 

삼백초 효능 및 삼백초 먹는법

 

오늘은 삼백초 효능과 삼백초 먹는법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삼백초라는 이름은 꽃과 뿌리, 그리고 윗부분에 달린 서너 장의 잎이 흰색이기 때문에 붙은 이름입니다. 삼백초는 키가 60~110㎝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 잎은 타원형이며 밑 부분은 심장 모양입니다. 여름철 흰색의 작은 꽃이 이삭모양으로 모여 피죠.

 

 

열매는 둥글고 종자가 각 실에 1개씩 들어 있습니다. 한방에서는 식물체 전체를 말려 몸이 붓고 소변이 잘 안 나올 때 쓰고, 각기·황달·간염 등에도 사용합니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삼백초 효능 알아보겠습니다..

 

삼백초 효능 하나. 변비 숙변을 없애는데 효과가 탁월합니다.

숙변은 두통, 고혈압 간장병 등 만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삼백초」에 들어 있는 쿠에르치트린, 이소쿠에르치트린, 프라보노이드 등의 성분이 변통을 좋게 작용하며 강력한 살균작용을 하기 때문에 상처가 났을 때 생잎을 짓찧어 붙이면 좋고 또한 프라보노이드(Fravonoid)계와 수용성 타닌 성분이 모세혈관을 강화시키고 장벽을 치유해 장의 기능을 정상화시켜 주며 유익한 세균의 증식을 돕는 반면 유해한 세균의 증식은 억제해 변비를 예방합니다. 

 

 

삼백초 효능 둘. 해독 및 이뇨작용이 매우 뛰어납니다.

삼백초를 수목통(水木通)·오로백(五路白)·천성초(天性草) 등으로도 부르는데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 대변과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몸이 붓는 증상을 없애주며 몸속 찌꺼기를 걸러내어 열독을 풀어주며 공해물질로 인한 중독, 간장병으로 인하여 복수가 차는데, 신장염, 부종 등의 치료에 효력이 있으며 간염, 간경화 같은 간질환과 당뇨병 치료에도 일정한 효과가 있습니다.

 

 

삼백초 효능 셋. 고혈압 동맥경화 치료와 예방에 효과가 큽니다.

고혈압, 동맥경화는 심장병, 중풍, 뇌졸증 등의 원인이 되는데 「삼백초」를 차로 해서 늘 마시면 혈관속의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아지며 또한 항암작용이 뛰어나며 모세혈관을 강화해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에 효과가 있고 해독 및 이뇨 작용을 해 신장염과 부종 등의 치료약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자고 일어나면 손가락이 잘 움직여지지 않을 때, 일어나면 얼굴이 푸석푸석하다가 오후가 되면 빠지는 사람, 저녁 무렵이면 종아리와 발이 부어 신발 신기가 어려운 사람, 숨이 멎을 듯 숨쉬기 힘들고 가래가 붙어 있는 느낌으로 뱉어지지 않을 때도 상시 복용하면 좋습니다.

 

 

삼백초 효능 넷. 갖가지 부인병에 효과가 있습니다.

삼백초는 냉대하, 자궁염, 생리불순, 자궁탈출 등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자궁이 아래로 처져 고생하던 사람이 삼백초 뿌리를 달인 물로 찹쌀밥을 지어 먹고 나았다는 임상결과가 나와있고 그 밖의 여러가지 효험을 보았다는 기록이 나와 있다고 합니다.

 

삼백초는 수분대사를 원활하게 해 주고 피부에 탄력을 주며 소염효과와 해독작용에 효과적이라 월경불순이나 대하·자궁염·자궁수탈증 등 각종 여성질환에 좋습니다. 또한 말초혈관의 탄력성을 증가시켜 말초동맥순환에 도움을 주고 이뇨와 건비·익기의 작용으로 항병 및 노화방지에도 도움을 줍니다.

 

 

삼백초 효능 다섯. 염증을 없애고 무좀과 습진을 예방합니다.

무좀과 습진에는 삼백초와 연전초(병꽃풀)를 물로 달여 발을 담그거나 발라 주어도 좋습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생연전초와 생삼백초를 같은 분량으로 짓찧어 저녁에 자기 전에 발에 붙인 다음 비닐로 발을 감싸고 나서 비닐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양말을 신고 잡니다. 이렇게 2주 이상 꾸준히 하면 크게 호전됩니다.

 

 

이밖에 고질적인 두통, 고혈압, 만성변비, 기관지염, 악성무좀, 심장병, 비만증, 중풍으로 인한 보행과 언어장애, 악성 여드름, 만성피로, 습진, 피부병, 화상 등이 삼백초를 먹거나 짓찧어 뭍이는 방법으로 나았다는 기록이 있고 정력이 좋아졌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삼백초 (三白草) 먹는법

섭취방법 삼백초는 뿌리, 잎, 줄기, 꽃 전체를 약으로 씁니다. 차로 달여 마실 수도 있고 두부, 돼지고기 등과 요리에 이용할 수도 있으며 생즙을 짜서 마실 수도 있습니다. 술에 담가서 우려내어 먹기도 하죠. 말린 잎을 무쇠솥에서 한번 볶아낸 후 약차로 달여 마시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