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태아 증가 이유는?
다태아 증가 이유는?
쌍둥이 및 삼둥이 같은 다태아의 출생이 10년 새 43%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4 출생통계(확정)'에 따르면 지난해 태어난 출생아 중 다태아의 구성비는 3.49%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지난해 태어난 다태아는 1만 5,180명으로 전년 1만 4,372명에 비해 808명 증가했다고 합니다.
지난 2004년과 2005년 태어난 다태아 수가 9,000명대 수준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놀라운 증가 폭이라고 하는데요. 다태아 출생은 지난 2004년 9,818명, 2005년 9,459명, 2006년 1만 767명, 2008년 1만 3,456명, 2009년 1만 2,062명, 2010년 1만 2,841명, 2011년 1만 3,852명, 2012년 1만 5,621명, 2013년 1만 4,372명을 기록하며 대체적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출생아 수 중 다태아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00년대 중반 2% 초반에서 지난해 3.49%까지 올랐다고 해요. 이 같은 현상에는 자연임신이 어려운 부부가 과배란 인공수정 등 각종 산부인과 시술을 통해 아이를 임신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이는데요.
일반적으로 과배란을 유도한 후 인공수정을 실시할 경우 자연상태보다 쌍둥이 이상 다둥이 임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통계에 따르면 다태아 산모의 평균 연령은 33.20세로 단태아를 낳은 산모(32.00세)보다 1.20세 많았다고 해요.
윤연옥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통계를 작성할때 다태아를 낳은 산모가 인공수정을 했느냐의 여부까지는 조사하지 않지만 인공수정 증가 등으로 인한 다태아 출생 증가를 추측할 수는 있다"며 "최근 10년의 추세를 볼 때 다태아가 늘어나는 경향은 뚜렷하게 관찰된다"고 말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