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발톱 암진단 검은선 '흑색조갑증' 아닌 '흑색종'?
손발톱 암진단 검은선 ‘흑색조갑증’ 아닌 ‘흑색종’?
손발톱 암진단 검은선 ‘흑색조갑증’ 아닌 ‘흑색종’일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는데요. 손발톱에 세로로 검은 선이 생기는 ‘흑색조갑증’이 악성종양의 하나인 흑색종의 증상일수도 있다고 해요.
서울대병원 피부과 문제호 교수팀(1저자, 피부과 온정윤 임상강사)은 이런 손발톱에 나타나는 검은선의 형태와 크기만으로 보다 손쉽게 흑색종을 예측할 수 있는 진단방법을 고안했는데요. 연구팀은 2013-2017년간 병원에 내원한 손·발톱 흑색조갑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피부확대경 진단 소견을 분석했다고 합니다.
그 결과, 흑색조갑 너비가 3mm이상인 경우, 다양한 색조를 띠는 경우, 비대칭성을 보이는 경우, 경계가 불분명한 경우, 주변 색소침착이 있는 경우 등이 흑색종을 의심해 볼 수 있는 상태라고 밝혔다고 해요.연구팀은 이번 손·발톱 흑색종 조기 선별기준을 이용하면, 불필요한 손∙발톱 조직검사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일반적으로 흑색조갑증은 멜라닌 세포가 색소를 많이 생산하는 경우와 멜라닌 세포 수가 증가해 발생하게되는데요. 멜라닌 세포가 색소를 많이 생산하여 발생하는 흑색조갑증은 손발톱무좀, 반복되는 물리적 자극 등이 원인인 경우가 많으며, 임신이나 부신 혹은 갑상선질환과 같은 내분비계 질병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고 해요.
특히 멜라닌 세포 수가 증가해 발생하는 경우는 손발톱기질 흑자, 모반(점), 그리고 악성흑색종인 경우가 있는데요. 악성흑색종의 경우 멜라닌형성세포가 암세포로 변해, 점차 커지면서 주변 조직을 파괴하고, 진단이 지연되는 경우 전이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 있다고 합니다.
흑색조갑증은 대부분 증상은 없고, 양성인 경우 치료가 필요 없다고 해요. 그러나 악성흑색종에 의한 흑색조갑은 조기에 진단하여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고 하는데요. 이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손·발톱 조직검사가 필수적이라고 해요. 흑색종은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해요. 특히 동양인은 주로 손·발톱이나 손·발바닥에 자주 나타나는 경향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손발톱 암진단 검은선 '흑색조갑증' 아닌 '흑색종'일 수 도 있기 때문에 잘 살피고 정확한 진단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